티스토리 뷰

연금저축 수령기간, 수령시점에 대해

결론부터 말하면

연금저축 수령기간은 길게, 수령시점은 늦춰야 세금절약이 됩니다.

1. 연금저축 또는 퇴직연금은 10년이상 분할 수령

 - 연금 저축 또는 퇴직연금(퇴직금, 본인추가납입액)에서 연금을 수령할 때에 10년이상, 연금수령한도 이내의 금액으로 받아야 낮은 세율의 연금소득세 또는 감면된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연금을 10년 이상에 걸쳐 분할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13.3월 이후 개설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은 10년 동안 세법상 한도 이내에서 분할수령해야 연금소득세 적용(다만, '13.3월 이전 계약은 5년 동안 분할수령 가능)

 

2. 연금수령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세율의 세금 부과

 - 세법상 연금소득세는 가입자의 연금수령시 나이가 많을수록 세율이 낮아집니다. 경제적 여유가 있다면 연금수령 시기를 늦춰 세금불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수령 나이에 따른 연금소득세율

나이 확정기간형 연금 종신형 연금
55세 ~ 69세 5.5% 4.4%
70세 ~ 79세 4.4%
80세 이상 3.3% 3.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