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ETF는 원금 손실 우려가 있는 펀드상품입니다. -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는 인덱스펀드로서 특정지수 또는 가격의 수익률을 추종하며, 상장주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거래가 가능합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시장에서 매매되므로 환금성이 보장된다는 측면에서 최근 개인투자자등을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ETF는 은행 예금과 달리 원금보장상품이 아니므로 원금 손실위험에 대해 충분히 숙지한 후 신중하게 투자하여야 합니다. 2. ETF 자산구성내역 확인은 필수입니다. - ETF의 자산구성내역을 보면 투자예정 ETF가 어떠한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ETF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산구성내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 상..

1. ELS등 파생결합 증권은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흐름에 따라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금융회사 판매직원이 "사실상 원금보장이 된다"라고 설명하더라고 주의해야 합니다. 2. ELS 등 파생결합증권은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 파생결합증권은 증권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한 무담보•무보증 증권으로 발행회사인 증권회사가 파산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하게 됩니다. 3. ELS등 파생결합증권의 손익발생조건과 기초자산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흐름에 따라 손인(수익률)이 결정되는 만큼 기초자산의 현재 가격수준, 과거 가격추세, 향후 가격전망 등에 대하여 충분히 살펴보고 투자결정을 하여야 합니다. 4. ELS ..
- Total
- Today
- Yesterday
- 업비트
- 이체한도 해제
- 원금손실
- 2021 경기전망
- 부동산 대책
- 자동차 보험
- 제부도 여행
- 기아차
- 장기투자
- ETF
- 동행세일
- 코로나
- 판매수수료
- 집값이 오르는 이유
- 수수료
- KBANK
- 국내외 일자리 변화 대응 동향
- 환매수수료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 임대사업자
- 현기차
- 판매보수
- K-bank
- 케이뱅크
- 계좌
- 현대차
- 연금저축
- 부동산
- 하나카드 이벤트
- 거시경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