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료 2 팔꿈치 골프/테니스엘보, 무릎통증 치료 및 관리, prp 또는 프롤로주사, 척추시술
https://info-tips.tistory.com/4
치료2_팔꿈치 골프/테니스엘보, 무릎통증 치료 및 관리, prp 또는 프롤로주사, 척추시술
6. 팔꿈치 골프/테니스 엘보 ㅡ일단. 손쓰지 마세요. 팔꿈치는 물론 손도 아껴야 빨리 낫습니다. ㅡ치료법은 충격파치료ㅡ고강도레이져치료. 그 외 처방약 물리치료 등 병행하면
info-tips.tistory.com
1. 무릎 인공관절 수술
ㅡ나이 65세 이하는 하지 말긴 추천들비니다.
요샌 70-80세 거뜬히 삽니다. 인공관절 수명은 15년이 맥스. 보통 10년 봅니다. 삽입한 인공관절이 삭아서 수명이 그런 게 아니라 인공관절과 맞닿아있는 허벅지뼈랑 정강이뼈의 접합부위 뼈가 연해지고 무너지기 때문에 수명이 있습니다 . 우리 몸의 뼈는 약해지는데 삽입된 인공관절은 튼튼하니 점점 무너져 내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60세쯤 젊어서 인공관절 수술하시면 15년쯤 지나서 75세쯤 재수술하실 가능성 큽니다. 그러니 몸 건강하고 활동력 있으신데 수술할 정도로 무릎 연골이 상했다면 어떤 방법을 쓰시더라도 되도록이면 수술 늦추시길 권장합니다. 한 번만 수술하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ㅡ"무릎" 인공관절 수술할 땐 mri 촬영 또는 진단 필요 없습니다. 인공 관절할 정도의 무릎인지 아닌지는 성능 좋은 엑스레이 기기만 있어도 진단 가능합니다. 요새 맞춤형 무릎 인공관절의 경우 절단 각도 재단 위해 3d ct 촬영을 하긴 합니다. 그렇지만 mri촬영은 인공관절수술을 위해선 필요 없어요. 병원 수입 위한 촬영입니다.
ㅡ신경차단술 가능한 병원에서 수술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무리 마약 성분의 강한 약제 섞어 만든 무통주사도 신경차단술에 비하면 통증 제어 택도 없이 안됩니다. 뼈 깎는 수술이라 신경차단술 해야 어르신들 덜 아파하십니다. 근데 신경차단술 하는 병원 잘 없는게 흠입니다. 그건 마취과 의사 또는 집도의가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레지던트도 못하기도 하고 안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퇴 주변의 신경을 찾아야 하는 거라 숙련된 의사 아님 신경차단술오 통증 제어하는 게 잘 안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신경차단술 하면 수술시간이 20분 정도 더 거리고 순익도 적기 때문에, 그러니 의사들 어지간함 안 하려고 합니다.
대학병원에서 신경차단술 거의 안 하는 이유가 의사들이 안 하려고 그런겁니다. 근데 환자에겐 적은 돈으로 정말 큰 효용이 있는 거라서 되도록 어깨랑 무릎 인공관절 그리고 줄기세포 수술하실 땐 신경차단술 가능한 병원에서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2. 연골주사
ㅡ하이 히알 주사ㅡ라고 하는데 이거 얼굴에도 피부 좋으라고 맞죠? 같은 재료입니다. 근데이건 연골주사가 사실 아니고 기름칠해주는 주사입니다. 이거 백날 맞아도 무릎 연골 깨진 거 아픈 거 "치료"안됩니다. 그냥 연골이 닳아 뻑뻑한 무릎에 기름칠해서 부드럽게 만드는 주사ㅡ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dna 주사 또는 pdrn 주사 (플라센텍스 주사)
원가가 5만 원도 안됩니다. 근데 이 주사 어느 전문병원은 주사 1회당 30만 원 어디는 17만 원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왜 가격차이가 나냐? 물으면 다른 약이라고 이게 더 좋은 거라고 대답도 합니다. 근데 이 pdrn주사는 사실 회사 한 곳에서만 제품 판매합니다. 현금 안 주면 물건도 안 줍니다. 독점이기때문입니다. 그러니 되도록 싼 병원에서 맞아도 괜찮습니다. 다른 약제를 섞기도 하는데 같이 섞는 약제라 해봤자 리도카인 트리암 뭐 이런 거니 몇백 원 안 합니다. pdrn이라 해놓고 다른 거 놓지 않을 만큼의 신뢰만 간다면 어디든 싼대서 맞으시길 추천합니다.
ㅡ무릎 연골 손상에 좋으라고 재생되라고 맞는 주사이긴 합니다. 하지만 효과는 그냥저냥입니다. 이거 맞아서 연골 재생되면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대신 무릎 연골 연화증 환자에겐 좋습니다.
ㅡ1회 차 맞고 4-6주 지나야 효과 보고 가장 좋은 결과는 1주일에 1회씩 5회 이상 맞아야 효과 봅니다.
ㅡ팔꿈치(테니스 엘보 골프엘보) 질환이 "1-3개월 이상 꾸준한 치료를 받았음에도 안 낫는다면" 맞아보셔도 좋습니다. 팔꿈치 쪽이 무릎보다 보통 더 좋은 경과 많습니다.
3. 영양제
ㅡ신데렐라 주사는 싼 게 원가 한 5천 원 마늘주 사는 한 4천 원, 태반주사는 싼 건 몇백 원 일제는 6천 원 정도, 백옥주사? 이건 원가가 한 15,000원 안됩니다. 여기다 n/s 100 또는 아미노산 제제 등 섞어 맞는거고 부르는 게 값이라 3만 원부터 5-10만 원까지 합니다. 효과는 사람마다 다 달라서 자연분만에 무통 마취처럼 효과 짱 잘 받는 분도 있고 그냥 포도당 맞는 정도의 분도 있습니다.
ㅡ감기 걸 리거 몸살 기운 있을 땐 수액은 어떤 거 든 좋습니다. 흔히 아는 노란색 삐콤 영양제는 원가 대비 너무 부풀려져 있는 영양 제니 이왕이면 아미노산 제제로 맞으세요. atp 미토콘드리아 멀티 블루 등이 가격 대비 수술 후 맞음 기력 회복에 도움되는 영양제 및 성분입니다.
4. 충격파 치료
ㅡ가장 효과 빨리 보는 질환: 어깨/고관절 석회. 어깨/무릎인대 부분 파열. 손목 tfcc질환. 테니스/골프엘보. 족저근막염. 그 외 각종 인대 및 건에 생긴 염증 및 건초염.
ㅡ효과 더디거나 다른 치료가 더 나은 질환: 오십견. 무릎 연골(반월상 연골판 손상 포함). 손목터널 증후군. 목/허리 통증.
ㅡ충격파는 1억 넘는 기기부터 600만 원이면 살 수 있는 기기까지 가격과 그 성능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고 차이가 큽니다. 일단 충격파 치료받고 멍들었다면 그 기계는 뉴메틱 타입=공기압 방식 기기이고 효과 떨어집니다. 딴 병원 가서 치료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유명 전문병원 블로그에 보면 이 기기 가지고 충격파 치료라며 1회에 10만 원 이상 받는데... 정말 같은 의료계이지만 너무합니다;: 꼭 어느 나라 어느 회사 기기인지 확인해보고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200 병상 이상급 병원에선 스위스 스톨즈 또는 독일 울프 삐에조 사의 충격파 기기 정도는 사용합니다. 다 모르시겠으면 뉴메틱 방식인지 엘렉트로ㅡ마그네틱 방식의 기기인지만이라도 확인하세요. 엘렉트로 마그네틱 방식 무조건 좋습니다. 뉴메틱은... 개인적으론 마사지기라고 생각합니다.
3. mri
ㅡmri 한대 운용하는 한 달 순 유지비를 상쇄하려면 평균 한 달에 100명 정도는 촬영해야 합니다. (물론 기기 등급 제조사마다 다름) mri 있는 병원은 상대적으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mri오더 많이 내도록 의사에게 인센티브를 줄 수밖에 없습니다. 유지비 분기점만 넘기면 다 순수익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의사 인센티브가 한 달 x건 이상 촬영분부터 건당 8-10만 원 줍니다. 당연히 mri 찍도록 할겁니다.
ㅡ차라리 믿을만한 동네 영상의학과 가서 촬영하는걸 추천합니다. 어깨 무릎 디스크 등 기본적인 mri촬영은 1.5T 정도 급의 기기면 충분합니다. 저림 증상 등이 있어 신경손상여부까지 봐야 할 때나 대학병원의 4.0T mri 기기가 필요한 거니 성능 좋다고 무조건 비싼 게 좋은 건 아니기 땜문입니다. 병원서 mri 찍자 하면 1.5T 등급 되는지 꼭 확인하고 촬영하시길 추천합니다.
ㅡ유명 체인병원인 tt 병원 모 지점은 수술 병원임에도 1.0t Mri 기기 보유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거 갖고는 디스크나 보이지 어깨 인대 손상 등은 잘 안 보입니다.
ㅡ급성을 제외하곤 보통 1년 정도 유효하니 꼭 촬영 후엔 시디 카피해서 보관하시고 수술 이야기 나오면 그 시디 들고 다른 병원 가보시길 추천합니다. 딴 병원에서 다시 찍어야 한다 하면 나와서 다른 병원 또 가보시길 추천합니다;; 1.5 이상 기기라면 사실은 비슷합니다. (예외; 신경 쪽 질환 의심되거나 근골격계 아닌 뇌 관련 쪽)
ㅡ주의; 의외로 많은 의사들이 본인은 mri 판독 잘 못하고=볼 줄 모르고 영상의학과의 리딩에 의존해 진단 내립니다. 척추는 그나마 나은데 어깨 발목 쪽은 임상경험 많지 않음 자주들 놓칩니다. 그러니 꼭 그쪽 전공한 의사 선생님 한테 진료 받으시길 추천합니다
ㅡ무릎 발목은 구조상 인대가 속에 숨어있고 연골판 등의 구조가 안쪽에 위치해 있기에 엑스레이로 진단 가능한 퇴행상 관절염 빼곤 mri 찍어야만이 정확한 진단 가능합니다.
ㅡ 어깨는 이학적 검사와 문진으로 50% 초음파로 70%까지 진단 가능하며 mri로 확진합니다.
ㅡ손목 팔꿈치 발바닥 등.. 보통의 흔한 질환은 문진과 이학적 검사로 7-80% 진단 가능. 치료 경과 보면 일시적 심한 염증이 주원인인지 구조적 손상이 통증의 주원인인지 확인 가능.
ㅡ목 허리. 저림 증상이나 극심한 통증 없다면 거의 대부분이 안 좋은 자세ㅡ일자목 안쪽으로 말린 어깨 굽은 허리가 원인입니다. 따라서 저림 증상 극심 통증 없음 엠알아이 찍을 필요 없습니다.. 운동ㅡ스트레칭ㅡ배게 높이 조절ㅡ의식적인 바른 자세유지 만으로도 증상 많이 나아집니다. 여기에 레이저 치료 도수치료 물리치료 그리고 과하지 않은 적절한 tpi 주사요법 병행하면 좋습니다
4. 줄기세포 치료
ㅡ자기 피 뽑아 줄기세포 추출해 그거 주입하는 거. 지방에서 줄기세포 뽑아 주입하는 거. 자기 골수에서 뽑아 줄기세포 추출해 주입하는 그 효과 천차만별에 나이 들고 비교적 덜 건강하면 돈 버리는 치료입니다. 과연 줄기세포 치료까지 고려해야 할 연세 4-50대 환자의 몸에 줄기세포기 얼마나 있을까요??
ㅡ무릎 연골 재생에만 사용 허락된 카티스템이란 약제는 그나마 효과 균일하고 실제 연골 재생도 됩니다. 논문에는 위에 적은 자가 줄기세포와 비교하면 700배? 정도 줄기 세포수가 많다고 합니다... 뭐 세보진 않아서 하지만 환자군 사이에서 효과가 균일합니다. 저는 이게 치료라 생각합니다.
ㅡ근데 왜 병원들에서 카티스템이 야긴 잘 안 하고 위에 자가혈이니 골수니 비맥이 스마트 줄기세포니 하는 치료만 권하냐ㅡ 카티스템은 돈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ㅡ내피 뽑아 원심분리기 돌려서 줄기세포 추출하는데 재료값이 얼마나 들까요? 카티스템은 약값만 450만 원이 넘습니다. 두 치료 모두 소비자가 내는 돈은 700-1000만 원가량 합니다. 그럼 어느 치료가 순수익이 많이 날까요? 왜 큰 병원 전문병원일수록 카티스템 권하거나 홍보 안 하는지 아시겠죠? 심지어 카티스템 수술은 입원기간도 최소 2주는 필요합니다. 보통 입원 1주일 넘으면 수익성 거의 제로 되는 우리나라 의료수가 때문에 큰 병원일수록 보통 1주일 전에 퇴원시키는 겁니다.
ㅡ줄기세포 치료를 고려하시? 무조건 카티스템 치료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ㅡ참고로 둘 다 실비보험 적용되나 카티스템이 더 까다로워서 병원 원무과들이 싫어합니다. 서류가 복잡하고 조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5. 오십견
ㅡ단단히 굳은 관절낭 풀어주는 운동 죽어라 열심히 하면 낫습니다. 심해사 팔운동 범위가 작아질 정도라면 관절 수핵 팽창술이라는 주사 맞고 또 운동합니다. 참고로 스테로이드 성분 주사 아닙니다.
ㅡ침을 맞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던 돗 치료를 하던. 스스로 하루에도 수시로 관절낭 풀어주는 운동 안 하면 안 낫습니다. 특히 스테로이드 주사는 어깨 인대 녹일슈 있으니 세 번 이상 맞지 마시길 추천합니다.
ㅡ오십견 주사 놓는데 초음파 안 쓰고 의사가 주사 놓는다면 그냥 진통 주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착된 관절낭 유착방지제+리도카인 등 섞인 주사액으로 부풀려 떨어트려 놓는 주사인데 초음파 없인 관절강"내" 에다 주사 못 놓습니다. 이런 주사는 오십견엔 별 효과? 없습니다. 오십견주사는 무조건 초음파 보며 놓는 병원으로 가시길 추천합니다.
ㅡ암튼 운동만 열심히 해도 낫습니다.
[양심적인 대한민국 무릎 명의들]
배대경(서울성심병원),전철홍(원광대학교병원),안진환(강북삼성병원)
다음 이어서는 치료2에 팔꿈치 골프/테니스 엘보, 무릎통증 치료 등등의 정보로 아래서 확인하시면 좋은 정보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https://info-tips.tistory.com/4
치료 2 팔꿈치 골프/테니스엘보, 무릎통증 치료 및 관리, prp 또는 프롤로주사, 척추시술
치료 1 무릎 인공 관절, 연골 주사, dna 주사, pdrn 주소, 영양제, 충격파치료, mri, 줄기세포 치료, 오십견 https://info-tips.tistory.com/3 치료1_무릎 인공 관절, 연골 주사, dna 주사, pdrn 주소, 영양제,..
info-tips.tistory.com
'건강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에게 수족냉증이 많은 원인(이유)와 치료(처방법) (0) | 2020.11.11 |
---|---|
같이 먹으면 안되는 영양제 - 궁합 나쁜 영양제(영양제 조합), 마그네슘, 아연 등 (0) | 2020.10.30 |
뉴질랜드 초록홍합(초록잎 홍합) - 녹색홍합 효능 관절염에 좋은 영양제 (0) | 2020.10.28 |
다이어트 영양소와 비만에 대한 지식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탄단지) 먹는 방법 (0) | 2020.07.13 |
치료 2 팔꿈치 골프/테니스엘보, 무릎통증 치료 및 관리, prp 또는 프롤로주사, 척추시술 (0) | 2020.06.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케이뱅크
- 집값이 오르는 이유
- 현대차
- 업비트
- 부동산 대책
- 하나카드 이벤트
- 계좌
- 기아차
- 코로나
- 장기투자
- 동행세일
- 부동산
- 판매수수료
- 판매보수
- 현기차
- 국내외 일자리 변화 대응 동향
- 연금저축
- ETF
- 이체한도 해제
- 환매수수료
- KBANK
- 거시경제
- 수수료
- K-bank
- 자동차 보험
- 원금손실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 2021 경기전망
- 임대사업자
- 제부도 여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