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관련 글이 있습니다.

부동산 상식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1에 대해 같이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nfo-tips.tistory.com/145

 

부동산 상식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관련 글이 있습니다. 2020년 하반기 부동산 및 2020년 하반기 부동산 동향 및 2021년 부동산 전망에 대해 같이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nfo-tips.tistory.com/142 수도권 매매 : 서울, 2006년 대비

info-tips.tistory.com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2 - 거시경제, 매매시장, 전세시장

1. 매매시장 공급(1) - 임대주택 등록 자동말소로 인한 매물 출회 가능성 하락

 - 임대주택 자진.자동 말소 후 1~5년 내 판매 유인(7.10 대책)

  * 중과배제 : 자진 말소 후 1년 내 처분(자동 말소는 제한 없음)/ 거주주택 과세특례 : 5년 내 매도

  * 종부세 vs 야야도세 중과배제, 거주주택 과세특례, 장기보유특별공제 중 저울질 할듯으로 예상됨.

연차별 수도권 임대주택 자동 말소 수량, 등록임대사업자의 임대주택 분포 사례

1. 매매시장 공급(2) - 세대 분리 많아지고 증여 연령 낮아져

 - 세대 분리 예회허용으로 인한 증여 늘어나면 시장 출회 여려워질것으로 예상

  * 6.17 대책과 7.10 대책이 연달아 발표된 7월, 30대 이하 증여비율은 최대 49.8%, 점차 늘어나는 경향성 나타냄

  * 만약 증여를 통한 세대 간의 직접 자산 이전이 일어나는 경우 매물 시장 출회 물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

 

 

 

서울 및 수도권 세대 증가율, 수증자의 나이대별 비율 추이(서울)

2. 매매시장 수요(1) - 구매자 연령 하락, 연령대 낮을 수록 기타대출 활용 상승

 - 용감한 20대와 과감한 30~40대가 서울 주택시장 주도

노후주택 매입비중, 기타대출 활용비율, 서울 집합건물 연령대별 생애 최초 구입자 비율

3. 분양형상품 시장(1) - 카드실적 감소 및 분양형 상품 수익률 감소

 - 도.소매 제외 대부분 업종에서 카드실적 감소/투자 수익률 1% 초반

  * 도.소매업의 카드실적이 YoY 최대 220%증가 -> 재난지원금 영향

  * 그 외 대부분 업종 카드 실적 감소

  * 이에따라 분양형 상품 수익률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음

 

 

 

전년 대비 카드 승인 실적 증감, 분양형 상품 수익률 추이

3. 분양형상품 시장(2)  - 분양형 상품시장을 둘러싼 금융 환경 하락

 - 연체율 대체로 양호. 감내기간 1년 미만인 가구 25~50% 수준

  *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연체율 격차 뚜렷

  * 시나리오 상 감내기간 1년 미만 가구 비중 높아

상업용 부동산 담보대출 연체잔액.연체율, 소득 및 자산분위별 적자 자영업 가구 비중 및 시나리오 상 경제위기 감내기간 1년 미만 가구비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