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관련 글이 있습니다.
부동산 상식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1에 대해 같이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부동산 상식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관련 글이 있습니다. 2020년 하반기 부동산 및 2020년 하반기 부동산 동향 및 2021년 부동산 전망에 대해 같이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nfo-tips.tistory.com/142 수도권 매매 : 서울, 2006년 대비
info-tips.tistory.com
1. 매매시장 공급(1) - 임대주택 등록 자동말소로 인한 매물 출회 가능성 하락
- 임대주택 자진.자동 말소 후 1~5년 내 판매 유인(7.10 대책)
* 중과배제 : 자진 말소 후 1년 내 처분(자동 말소는 제한 없음)/ 거주주택 과세특례 : 5년 내 매도
* 종부세 vs 야야도세 중과배제, 거주주택 과세특례, 장기보유특별공제 중 저울질 할듯으로 예상됨.
1. 매매시장 공급(2) - 세대 분리 많아지고 증여 연령 낮아져
- 세대 분리 예회허용으로 인한 증여 늘어나면 시장 출회 여려워질것으로 예상
* 6.17 대책과 7.10 대책이 연달아 발표된 7월, 30대 이하 증여비율은 최대 49.8%, 점차 늘어나는 경향성 나타냄
* 만약 증여를 통한 세대 간의 직접 자산 이전이 일어나는 경우 매물 시장 출회 물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
2. 매매시장 수요(1) - 구매자 연령 하락, 연령대 낮을 수록 기타대출 활용 상승
- 용감한 20대와 과감한 30~40대가 서울 주택시장 주도
3. 분양형상품 시장(1) - 카드실적 감소 및 분양형 상품 수익률 감소
- 도.소매 제외 대부분 업종에서 카드실적 감소/투자 수익률 1% 초반
* 도.소매업의 카드실적이 YoY 최대 220%증가 -> 재난지원금 영향
* 그 외 대부분 업종 카드 실적 감소
* 이에따라 분양형 상품 수익률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음
3. 분양형상품 시장(2) - 분양형 상품시장을 둘러싼 금융 환경 하락
- 연체율 대체로 양호. 감내기간 1년 미만인 가구 25~50% 수준
*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연체율 격차 뚜렷
* 시나리오 상 감내기간 1년 미만 가구 비중 높아
'금융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 적금 은행 서비스 (만기, 자동해지, 자동재예치) (0) | 2020.12.04 |
---|---|
2021 경기전망 - 인허가, 분양, 가격전망_4 (0) | 2020.12.03 |
예금, 적금 은행 서비스(담보대출, 재예치 등) (0) | 2020.12.03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1 - 거시경제, 매매시장, 전세시장_2 (0) | 2020.12.03 |
보험상식 : 자동차보험 비교견적 - 운행거리 할인률 (0) | 2020.12.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업비트
- ETF
- 현기차
- 임대사업자
- 코로나
- 부동산 대책
- 원금손실
- 자동차 보험
- 장기투자
- 기아차
- K-bank
- 판매보수
- 하나카드 이벤트
- 부동산
- 제부도 여행
- 2021 경기전망
- 케이뱅크
- 환매수수료
- 계좌
- 집값이 오르는 이유
- KBANK
- 연금저축
- 수수료
- 현대차
- 판매수수료
- 국내외 일자리 변화 대응 동향
- 거시경제
- 동행세일
- 이체한도 해제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