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금저축을 중도해지하면 16.5% 기타소득세 부담하게 됩니다.
'01.1월 이후 연금저축상품에 가입하여 세제혜택(한도 : 400만원)을 받은 후, 중도해지할 경우 "세제혜택을 받은 납입금액 + 운용수익"에 대해 16.5% 세율의 기타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 부과하게 됩니다.
특히, '13.3월 이전 가입계약은 가입후 5년내 해지하면 "세제혜택을 받은 납입금액"에 대해 2.2% 세율의 해지가산세(지방소득세 포함)까지 부과합니다.
'94.6 ~ 00.12' 가입한 구 개인연금을 중도해지하면 이자소득세를 부과합니다.
* 납입금액의 40%(72만원 한도)에 소득공제 혜택 + 연금수령시 이자소득세 면제상품
일시적 납입이 어려운 경우 납이중지 또는 납입유예제도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 연금저축 중도 해지시 세금부담이 크기 때문에 중도해지하지 말고 납입중지 또는 납입유예제도를 활요하시면 좋습니다.
연금저축신탁.펀드 - 자유납이므로 납입을 중단했다가 경제상황이 좋아지게 되면 언제든지 납입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보험 - '14.4월 이후 체결했다면 1회당 최대 12개월. 최대 3회까지 납입유예가 가능합니다. 만약, 납입유예하지 않고 보험료(월납)를 2회 이상 납입하지 않으면 실효되고 이후 일정기간(2년) 내에 계약을 부활시키지 않으면 해지만 가능합니다.
또한 생활자금이 단기간 필요하다면 연금저축 담보대출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노후대비 자금인 연금저축상품의 특성상 담보대출이자율이 비교적 낮습니다.
'금융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카드 소득공제율 및 카드 포인트 효율적 사용 방법 (0) | 2020.11.27 |
---|---|
변액보험 주식,펀드 투자 상담서비스 (0) | 2020.11.26 |
해외에서 카드 이용시 꿀팁 (0) | 2020.11.26 |
주거래 은행 거래실적 합산 가족모두에게 우대혜택 받는 방법 (0) | 2020.11.26 |
대출금 연체 신용등급, 신용평가에 대한 영향 (0) | 2020.11.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환매수수료
- 국내외 일자리 변화 대응 동향
- 이체한도 해제
- 임대사업자
- 집값이 오르는 이유
- 연금저축
- 제부도 여행
- 부동산
- 하나카드 이벤트
- 현기차
- K-bank
- 케이뱅크
- 업비트
- 계좌
- 기아차
- ETF
- 수수료
- 코로나
- 부동산 대책
- KBANK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 자동차 보험
- 현대차
- 장기투자
- 2021 경기전망
- 거시경제
- 판매보수
- 판매수수료
- 동행세일
- 원금손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