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매년 연말마다 소득공제 내역을 조회하면서 연말정산때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연말정산을 책으로 배우며 연말정산 계산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엑셀로 미리 계산을 하기도 하는데요.

10월-11월 즘에 미리 계산을 하여 어디서 쫌더 메꾸고 효율이 좋게 받을 수 있을까? 생각을하면서

남은 두달동안의 계획을 짜보기도 합니다.

 

엑셀로 미리 계산을 하기도 하지만 쫌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10월 30일 부터 시작하고 있다고 합니다.

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홈텍스 연말정산 미리 보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연말정산 미리보기

사이트로 들어가서 연말정산 미리보기의 빨간 동그라미를 클릭하세요.

 

 

연말정산 신용카드 예상세액 항목별 절세

그리고 왼쪽 하단에 Step.01, Step02, Step03을 순서대로 클릭하시면 됩니다.

우선 Step.01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연말정산 항목

내용 순서는 위와같이 흘러갑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연말정산 미리보기

 

1. 불러오기

2. 적용(총급여액 확인(정정) 후 적용

3. 신용카드자료 불러오기(부양가족 확인)

 

연말정산 카드 사용현황 및 절세 Tip

금액을 확인 후 10~12월 사용할 예상액을 대략적으로 입력 후

"계산하기" 클릭 후 "저장" 클릭

스크롤 하단으로 내린 후 "Step 02" 가기 클릭

연말정산 급여 및 예상세액, 소득공제

연말정산 급여 및 예상세액, 소득공제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총급여.기납부세액 수정" 클릭하여 정정하세요.

저같은 경우는 매년 특별한 사항이 없으므로 따로 정정할 일이 없습니다.

소득공제 부분은 주택으로 인한 대출이 있을 시에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하시면 됩니다.

특별 사항으로는 주택자금, 기부금, 청약통장 정도가 있으니 그정도 확인 후 계산하기 클릭하세요.

 

참고사항으로 연금보험료, 건강보험료등은 회사에서 매달 내는 돈을 합산하여 적으면됩니다.

주택자금이 있으면 입력하고, 기부금, 개인연금저축, 주택마련저축, 우리사주조합출연금을 많이 입력될 수록 돌려받을 돈이 많아집니다.

 

세액감면에서 보시면 부양가족, 연금계좌,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주택차입금, 월세액등이 있으면 입력하시면 됩니다.

 

보장성보험료는 최대가 100만원까지입니다.

 

하단으로 내려서 금액 확인 후 "계산하기" , "저장", "Step 03 가기" 클릭하세요.

 

연말정산 요약 및 연도별 현황

연말정산 요약 및 연도별 현황

 

Step03 으로 가시면 이와같이 나옵니다.

세부사항으로는 상단에 연말정산 요약, 인적공제, 신용카드, 교육비, 의료비, 주택자금, 연금저축, 보장성보험료, 기부금등의 상세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사항으로는 하단에 연도별 현황 보시면 2020(예상) 금액이 나옵니다.

차감징수액에서 보시면 -963,420원 으로 나왔습니다.

마이너스 금액이 되어야 돌려받는 것입니다.

올해 연말정산 환급액은 963,420원정도 돌려받을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연간 나의 소득을 입력하고 내가 사용한 금액들을 적습니다.

소득이 높아도 내가 부양할 가족이 있고 주택담보대출로 이자를 갚고 있고 교육비, 의료비, 보험료 등으로 지출을 하고 있다면 일정부분 내야할 세액을 감면해줍니다. 사용금액을 계산하여 어느정도 인정해주고 결정세액을 계산합니다.

이 결정세액으로 내가 회사를 다니면서 낸 소득세, 지방세를 보고 1년간 결정세액보다 세금을 더 많이 냈으면 돌려주는거고 그보다 적게 냈으면 더 내야한다는 취지입니다.

 

포인트로는 결정세액을 최대한 줄여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결정세액이 줄어드는 조건이 중요한데요 주택청약같은경우는 연 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해줍니다.

그래서 내돈 내가 저금하는데 소득공제 해주는 항목들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결정세액을 낮게 책정받아 내가 낸 세금을 최대한 돌려받아야 하는것이 이 연말정산의 목표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