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자동차 상해신청

자기신체손해
이 특약은 자동차 사고가 났을 시에 나의 치료비를 보장해주는 특약이다. 상해 등급에 따라 보험금이 정해져 있다.
내가 지불한 병원비보다 적은 보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 상해는 상해 등급과 상관이 없이 병원비 전액과 휴업 손해비, 위자료등을 보장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다 보장 받으려면 자동차 상해 특약으로 가입하는게 유리하다.
또한 자동차 사고시에 후유장해를 입을 확률이 높으니 장해 특약을 최대한 높게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2.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 특약 설정

무보험차상해 신청
무보험자동차란 뺑소니나 책임보험만 가입한 차량이나 자동차 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차량이다.
무보험차량에 의해 사고가 났을 경우는 국가에서 어느정도 보장은 해주지만 충분한 보장을 받기는 힘들다.
이런 사고로 불구가 되거나 사망을하면 나를 포함한 가족의 인생이 망가진다.
그래서 자동차보험에서 중요한 특약중 하나가 무보험 자동차에 의한 상해 특약이다.
보통 가입금액이 2억으로 자동설정 되어있는데 5억까지 보장금액을 늘려서 가입하는게 좋다. 또한 2억과 5억의 보험료는 몇백원 밖에 차이가 않납니다. 그리고 해당 상해 특약은 본인 뿐만 아니라 부모, 배우자, 자녀까지 다 보장된다.
3. 대물 가입금액은 10억

대물배상
과거에 비해서 외제차가 상당히 많아졌습니다. 외제차에서도 비싼 차들이 많이 보이는데 본인 과실로 난 사고가 아니더라도 10:0 비율로 나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본인의 차가 저렴해도 고가의 외제차에 비율이 3이나 4정도만 나와도 비용이 많이 나가게 되므로 대물배상같은경우는 최소 5억에서 10억으로 신청해놓는게 좋습니다. 10억으로 해놓아도 2~3억짜리보다 많아야 만원정도 차이가 나므로 10억으로 신청하시는게 좋습니다.
4. 법률비용특약 꼭 가입 (운전자보험)

법률비용지원특약
법률비용특약입니다. 이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나때문에 발생한 사고시에 벌금, 형사 합의비, 변호사 선임비를 보장해주는 특약입니다.
간혹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데 민사 사고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적은 교통사고는 가입한 자동차 보험에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의 중과실(중앙선침범, 횡당보도 사고등)로 인해 상대방이 죽거나, 심하게 다쳤을때에는 형사 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경우는 자동차 보험에서 보장이 안된다. 그래서 생겨난 보험이 운전자 보험인데 운전자 보험의 경우는 따로 보험사 상품으로 가입하는 것과 자동차 보험에 추가로 넣는 법률 특약이 있다. 둘중 하나는 꼭 가입하는걸 추천합니다.
5.견인거리확대 특약

견인거리확대 특약
자동차 보험 가입시에 긴급출동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긴급 견인 서비스도 가입하게 됩니다. 기본으로 넣는 견인서비스같은 경우는 견인거리가 10km 밖에 안됩니다. 그래서 만약 거리가 10km가 초과하게 되면 1km마다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됩니다. 장거리 운전을 많이 하시는 사람은 견인거리 확대 특약을 넣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사고시에 사설에서 달려오는 렉카(견인차)는 무조건 무시하시길 바랍니다.
5.보험료 할인
보험사마다 항목이나 할인율이 약간씩 다르지만 해당 조건에 들어가면 보험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마일리지특약(30~40%할인)
운전을 평상시에 많이 안하는 사람들한테 유리합니다.
②.블랙박스 장착(5%할인)
가끔 블박이 있으면서도 할인을 못받는 사람이 있으니 확인 필요.
③.자녀할인 특약(10~15%)
만5세이하 자녀있으면 할인(애가 있으면 아무래도 운전을 더 험하지 않게 하기 때문입니다.)
④.티맵착한운전 할인(5%할인)
평소에 티맵 이용시 안전 운전점수 61점 달성되면 할인 됩니다.(삼성화재는 71점당성해야됩니다.)
⑤.첨단 안전장치 할인(5%할인)
사진만 간단히 찍어서 올려도 할인됩니다.
⑥.3년연속 무사고시 (20%할인)
사고 안내는 안전운전자 할인 추가입니다.
⑦.다이렉트 가입시 (평균15% 저렴)
보험설계사(설계사수수료때문에) > 전화가입 > 인터넷 가입(저렴)
인건비가 적게 들어가는게 대부분 저렴합니다. 보험설계사의 경우는 인건비, 대리점 관리비, 지점장 등등의 운영비가 더 들어가서 상대적으로 보험비가 비싸게 책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넷 가입 같은 경우는 처음에 구축비용만 들 뿐 그 이후에는 기본적인 운영비밖에 들어가지 않기땜문에 보험의 경우는 인터넷 가입이 제일 저렴합니다.
또한 자동차 보험같은 경우는(다른 보험사들) 비교견적해볼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위의 사이트의 경우 현대, 한화, DB, 흥국, 롯데, KB등
위의 사이트의 경우는 현대, 한화, DB, 흥국, AXA, 롯데, KB, 메리츠를 비교해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6. 그 외 기타
1.가입안하면 손해인 착한운전마일리지
사고를 내거나 교통 법규를 위반 했을 시에 벌점을 받게 됩니다.
반대로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사고를 내지 않으면 상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찰청에서 등록하는 착한운전 마일리지 입니다.
경찰청교통민원24 https://www.efine.go.kr/main/main.do
위의 링크에서 신청하면 되고 착한운전마일리지는 차도 없고, 운전을 안해도 면허증만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2. 자동차보험 가입 경력을 쌓으려면 경력인정자 등록은 필수
자동차보험은 보험에 가입한 경력이 길수록 보험료가 싸집니다. 가입 경력이 전혀 없는 사람들의 경우는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미리 경력을 쌓아두는게 좋습니다. 경력을 쌓는 방법에는 부모님이 가입한 자동차 보험을 가족보험으로 변경하고 경력인정자에 본인을 등록하면 됩니다.
3.차량이 2대 이상이면 동일증권이 유리
증권이란 보험사에서 가입한 보험 상품을 말한다.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차가 2대 이상인 경우는 동일한 보험사로 보험 시작일과 종료일을 맞춰서 가입하는 경우 동일증권이라고 말합니다. 동일증권을 가입하게되면 사고 발생시 할증율이 2대에 나눠져서 할당되므로 할증 가능성이 더 낮아질 확률이 많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와 b차량이 각각 가입하였고 a차량이 사고를 내서 할증이 20%가 된다면 b차량도 동일하게 20% 할증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동일 증권인 경우는 두 차량이 20%의 할증율을 나눠갖기 때문에 a와 b가 각각 10%씩 할증이 되게 됩니다.
4. 내 차를 다른 사람이 운전하게 된다면?
나만 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차를 나 이외의 사람이 운전을 할 경우가 생긴다면 가입한 보험사에 임시 운전자 특약을 신청할 수 있다. 임시운전자 특약은 누구나 운전할 수 있게 변경하는 것으로 운전 기간은 1일 단위로 지정이 가능하다. 보험료 또한 1일 단위로 계산이 된다. 중요한 점 하나는 임시 운전자 특약은 익일 00시부터 보험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소 1일전에는 가입을 해야 한다.
혹시라도 당일가입을 해야 한다면 더케이 원데이 보험을 알아보자.
5. 환입제도를 잘 활용하자
환입제도란, 자동차 사고로 받았던 보험금을 다시 보험사에 납부하는 것을 말한다. 환입을 하게 되면 보험처리 했던 사고가 없던것으로 처리가 된다. 환입제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보험료 인상을 막기 위해서 입니다.
경미한 사고가 났는데 보험을 처리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보상 받은 금액은 얼마 안되는데 사고 이력으로 잡혀서 다음 보험료 계산할 때에는 할인 혜택도 못받고 오히려 보험료가 오르게 됩니다. 보험 처리로 되려 손해를 보게 되기 때문에 이를 되돌리기 위해서 있는 제도가 환입제도 입니다. 사고 처리를 했는데 큰 비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다음해에 보험료 갱신 시 할증된 보험료를 따져보고 환입제도를 이용하여 보험료 할인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금융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륜차 불법행위 공익신고 투잡 알바 꿀팁 (0) | 2020.07.27 |
---|---|
2020년 세법 개정안 (0) | 2020.07.22 |
주식을 해야 하는 이유, 증권(주식) 계좌 개설 방법 (0) | 2020.07.14 |
우리카드 신용카드 발급 이벤트 ok캐쉬백 9만포인트 지급 (0) | 2020.07.10 |
syrup 초달달 하나카드 스타벅스 기프티콘 20장 혜택 신규 가입 이벤트 (0) | 2020.07.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업비트
- 부동산
- 이체한도 해제
- 2021 경기전망
- 수수료
- 2021년 부동산 전망 주요 변수
- 부동산 대책
- 판매보수
- 판매수수료
- 계좌
- 코로나
- 장기투자
- 원금손실
- 자동차 보험
- 현기차
- 연금저축
- K-bank
- ETF
- 거시경제
- 집값이 오르는 이유
- 환매수수료
- 현대차
- 케이뱅크
- 제부도 여행
- 하나카드 이벤트
- KBANK
- 동행세일
- 임대사업자
- 기아차
- 국내외 일자리 변화 대응 동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